이 블로그 검색

일요일, 10월 18, 2009




[뉴스 클립] 언어가 힘이다 <7> 일본식 한자어 [중앙일보] 기사 나도 한마디 (11) 2009.04.29 00:05 입력
뗑깡→생떼, 축제→잔치, 금주→이번주 …아름다운 우리말이 낫지 않나요 관련핫이슈[Section] 뉴스 클립 일상생활에서 일본식 한자어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일본식 한자어는 일제 시대 일본어를 쓸 것을 강요당하면서 집중적으로 유입돼 현재까지 무의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게 대부분이다. 일반인으로서는 어느 것이 일본식 한자어인지 구별하기가 어려워 쉽게 근절되지 않고 있다. 특히 법률을 만들면서 일본 법문을 참고하거나 베껴 오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렇게 사용된 용어들이 법조문에 그대로 남아 일본식 한자어 추방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일본 고유어나 일본어투 표현이 우리말을 밀어내고 사용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아직도 일제 잔재가 깊이 뿌리를 박고 있는 곳 가운데 하나가 우리말이다.
배상복 기자
일본식 한자어란
일본식 한자어란 한자의 음과 뜻을 이용해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한자 어휘를 일컫는다. 일본제 한자어 또는 일제 한자어라고도 부른다. 한자가 전래된 이래 일본에선 중국에는 없는 일본 고유의 개념이나 제도, 사물 등을 나타낼 필요가 있을 때 새로운 어휘를 만들어 사용했다. 개별 한자를 이용해 새로운 어휘를 만들어 내거나 원래 있던 낱말에 새로운 뜻을 더하는 방식을 썼다.


특히 메이지(明治) 시대에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면서 문학작품이나 학술 서적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일본식 한자어가 집중적으로 만들어졌다. 당시 서구의 새로운 개념에 해당하는 적절한 단어가 없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조어력이 빈약한 일본 고유어 대신 조어력이 풍부한 한자를 사용해 번역하면서 새로운 개념에 대응하는 한자 어휘를 자체적으로 만들어 사용해 왔다.
한자 문화권 국가들은 서양 문화나 문물의 개념을 간편하게 받아들이는 방법으로 일본식 한자어를 도입해 쓰는 예가 적지 않았다. 생소한 개념을 표현할 만한 마땅한 어휘가 없었으므로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문제는 같은 뜻의 고유한 어휘가 있는데도 일본식 한자어가 들어와 사용되는 경우다. 우리나라에는 특히 일본의 식민지 정책이 본격화하면서 일본어 사용 강요로 일본 고유의 어휘와 일본식 한자어 유입이 가속화했다.
이렇게 우리말에 파고든 일본식 한자어는 현재까지도 무의식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적지 않다. 일반인으로서는 어느 것이 일본식 한자어인지, 고유 한자어인지 구별하기가 쉽지 않아 아직까지 근절되지 않고 있다. 특히 우리가 법률을 제정하면서 일본 법문을 참고하거나 베껴 오는 과정에서 법조문에 일본식 한자어가 적잖이 섞여 들었다. 법제처가 ‘알기 쉬운 법령 만들기’ 사업의 하나로 법률 문구의 일본식 한자어를 바꾸는 노력을 하고는 있으나 아직은 미미한 수준이다.
일본어투 표현
일본어투 표현이란 우리말의 고유한 서술 방식과 다른 일본어식 문장 표현을 가리킨다. 일본식 한자어와 마찬가지로 개화기와 일제 시대 들어 흔히 쓰이게 됐다. 개화기에는 주로 일본에서 공부하고 온 사람들에 의해 문학작품 등에 쓰였고, 일제 시대에는 일본말을 강요당하면서 우리말에서 일본어투 표현이 늘었다.
‘~의’가 대표적이다. 이전에도 우리말에서 ‘~의’가 쓰이기는 했으나 일본어에서 여러 가지 문장성분으로 쓰이는 조사 ‘노(の)’의 영향을 받아 불필요하게 사용하는 일이 많아졌다. 명사를 나열할 때 꼬박꼬박 ‘의’를 붙여 쓰는 것이 이런 예다. ‘의’가 다른 조사와 결합한 ‘~와의’ ‘~에서의’ ‘~에의’ 등도 일본어투 표현이다. 일본 학자들이 영어의 ‘-tic’을 번역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한 ‘~적(的)’의 경우 유용한 표현이긴 하나 남용되는 것이 문제다. 이 밖에도 일본어 구조를 그대로 흉내 낸 듯한 표현으로 ‘~에 있어(서)’ ‘~에 다름 아니다’ ‘~에 값한다’ 등이 있다.

배상복 기자 [sbbae@joongang.co.kr]

댓글 없음: